K exporter.

K cosmetics, K ealth Functional Food

메이크보그 칸세츠상, 톡스웰 이건 진짜 병이네.

메이크보그의 기만

메이크보그의 상술.

이렇게 장사하고 싶을까?

2025년 1월, ‘일본에서 3초에 한 개씩 팔리는 관절약’이라면서 대한민국에서 광고된 칸세츠(かんせ) 상·하라는 제품이 사실은 일본에서 판매된 적이 없다는 사실이 시부야 보건소를 통해 후생노동성에 적발되며 밝혀진 사기 광고 사건이다.

사기의 전개.

한국의 블로그와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2024년 4분기부터 일본에서 3초에 한 개씩 팔리는 칸세츠라는 관절약이 효능이 좋다고 광고되었다.

그러나 한국인을 통해 한 일본인이 칸세츠라는 관절약을 사다달라는 요청을 받고 찾아보았으나 없는 약이었다면서 트위터에서 작성한 트윗이 수 천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공론화되었다.

공론화 이후 해당 광고글은 삭제되고, 블로거는 사실 자신도 업체에서 제공받은 사진과 내용으로 글을 작성한 것이었으며 자신도 광고대금을 받지 못했는데 이렇게 연락두절이 되었다면서 카카오톡 내역과 업체에서 제공한 사진 등의 증거를 블로그로 게시하며 자신도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주식회사 메이크보그 대리인 이나길에 의해 임시 조치되어 게시 중단 되었고, 이후 추가 글을 올려 해당 블로거는 악성 댓글 등을 달 경우 법적 조사를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가 이후 해당 글도 삭제되어 아카이브만 남게 되었다.

TBS뉴스보도에서도 시부야 현지 약국을 취재하였지만 어느 약국에서도 존재를 하지 않았고 사기 영상에 나온 스기약국의 신고로 후생노동성 접수가 된다.

아사히TV는 칸세츠를 유통하는 주식회사 메이크보그에 이메일과 전화를 통해 취재를 요청했지만 뭐 할 말이 있겠어?

입꾹닫.

후생노동성은 후지 뉴스 네트워크의 인터뷰에서 칸세츠에 대해 “다른 약 칸에 진열된 것처럼 보이게 해 의약품이라고 인식하게 만드는 건 명백히 적절하지 않습니다.

건강 피해가 발생하여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이런 수상한 제품은 절대 사용해서는 안됩니다”라고 경고했다.

FNN 한국경제신문 보도에 따르면 다수의 네티즌이 1월 3일께 이런 문제를 트위터 등 SNS에서 제기하자 해당 업체는 1월 8일 광고 등 일부 사이트 내용을 교묘하게 변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일본에서 제조 생산됐다는 유튜브 홍보 영상을 내리고 약통 외부 표시도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바꾸는 식이다.

여러모로 대한민국 망신을 제대로 시켰다.

98개의 일본인의 조롱이나 비아냥 섞인 댓글이 달려있다.

그럼 처리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런데 이 업체에서는 또 이 짓을 하고 있다. 일본을 이용하는건가? 내용을 봐서는 그 건 아닌 것 같고.

일본빠인가?

법은 왜 이상하게 이용되는지 모르겠다. 대리인을 통해서 칸사츠에 대한 진실이나 조롱을 담은 글들을 대리인을 통해서 모두 삭제한다. 심지어 나무위키까지 임시조치가 되었다.

사람은 안 변하는가?

톡스웰의 진실을 담은 유튜브 영상으로 인해 메이크보그는 크리에이터 날자파리를 고소한다.

메이크보그는 톡스웰을 판매하는 사이트는 물론 뷰레카라는 쇼핑몰도 운영하고 있다.

착한 기부를 한다고 건강식품을 기부했다고 한다. 가뜩이나 비싼 제품이니 7천만원 상당이라고 한 들 얼마나 될 지도 모르겠고, 또 그 상품이 팔리지 않는 재고상품인지 어떻게 알 수가 있겠는가.

재고처리하고 기부처리하는 절세전략일 도 있다.

대표 한준영은 신사임당에도 나와서 자신의 성공담에 대해 자화자찬을 했던 것 같은데,

변하지 않는 진리.

세상에 한 번도 사기를 안 치는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사기를 치는 사기꾼은 없다. 꾼이 붙은 이유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