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방송통신 고등학교
2025년 03월 04일

전국의 방송통신고등학교
전국에는 42개의 방송고등학교가 있다.

방송고 입시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자.
https://www.cyber.hs.kr/portal/index.do
내가 다닐때는 라디오로 학습을 했는데 역시 지금은 이러닝 기반이라고 한다.
세상이 변했으니 더욱 좋아진거 같다.
다로드는 방송고등학교에 대하여 큰 보람도, 애착도, 자긍심도 없지만 고맙게 생각하는 마음이 있다.
처음 나이트 클럽을 방송고 수학여행을 통해 강원도 경포대로 갔을 때 방문했다.내 인생 처음의 나이트클럽이다. 해수욕장의 당시 나이트클럽이 뭐 시설이 얼마나 대단했겠는가,
지금 상상해 봐도 참... 수더분 했다.
중학교 졸업이후 이태원의 개러지샵(지금의 카센타)에서 일하다가 정수직업훈련원에 들어갔고 훈련원을 다니는 와중에 고등학교를 가고 싶은 마음에 선택한 것이 방송통신고등학교다. 아마 방송통신고등학교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대한민국에는 자율형 사립고도 있고 과학고니 기술고니 있지만 방송통신고등학교도 있다.방송통신대학교도 있다. 어쩌면 방송통신대학교를 아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다. 이 곳에 가는 사람들은 100프로 정말 학교를 가고 싶어 가는 사람들이다. 다만 거의 모두가 경제적인 이유나 다른 이유로 고등학교를 가지 못했기에 선택을 하는 것이다.
학비가 엄청 쌌다. 2주에 두 번 출석을 하고 매일 라디오를 통해 학습을 듣는 형태이다 보니 당연히 저렴하다.
더구나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취지가 어떻게 보면 지금의 온라인 학습과 별반 다를 바가 없는 거 같기도 하다.
그리고 나이 제한이 없었다. 방송통신고등학교를 다니는 어른들을 생각해 보면 참 대단한 분같다.
적지 않은 나이에 고등학교를 한참 어린 동생, 혹은 조카뻘과 함께 학교를 다닌다는게 말이다.

ㅎㅎ 그렇게 살았다. 삼겹살을 고등학교때 처음 먹어봤다. 고기를 먹으면 배가 아파오는 통증. 이거 아는 사람 있을래나? ㅎㅎ 이런 말 하면 쑥쓰럽지만 그냥 늙다리의 라떼다 싶으면 된다.

내가 검정고시가 아닌 방송통신고등학교를 선택한 첫 번째 이유는 소풍, 수학여행을 가고 싶었다.
그래서 소풍을 간 곳이 서오릉이다.
지금에 돌아보니 내가 살고 있는 곳과 가까운 곳이다.
이런 인연이. 신기하지?

방송통신 고등학교는 전국구다.
방송통신대학교 출신들을 볼 때마다 한 편으로 참...대단하다는 생각을 하는데
대한민국의 대학중 유일하게 입학하긴 쉬워도 졸업하기 어려운 곳이다.
지금 그 곳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얼마나 될 것인가. 그러다 보니 방송통신고등학교출신들을 보면 감회가 남다르다. 마음뿐이긴 하다. 대한민국 방송통신소등학교 출신들을 응원하는 마음은 한결같다.
2학년때 수학여행을 갔다. 1박2일로 경포대를 간 것으로 기억을 한다.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학생들 대부분이 직장인이다 보니다로드는 영계였다.
토요일에 가서 일요일에 돌아오는 그런 스케쥴이다. 그 짧은 시간, 지금 돌아봐도 가슴 설레인다.
당시는 토요일에도 일을 해야 했고 ... 아마 학교도 그러지 않았나?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1박2일이었지만 다른 것은 기억이 없는데 나이트클럽은 기억이 난다.
딱 두 가지 장면이 생각이 난다.

하나는 클럽에서 같이 술을 마시던 같은 반, 하지만 40대쯤 되었던 분이다.
그 분이 소주를 따라 주시면서 술은 어른들에게 배워야 하는거다.
라고 하시는 거다. 그런데 별 것 아닌 그 말이 지금까지 이렇게 남아있고
나는 술버릇이라는 것에 대해서 나름 생각하게 되었다.
어쩌면 그다지 점잖치 않은 술버릇이 그 잊혀지지 않음으로 인해 이나마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또 하나는 같은 반이었던 누나와 춤을 췄는데 그 누나가
너 춤 잘 춘다, 나이트클럽 자주 다니는 거 아냐? 라는 말이었다.
물론 나는 그 곳이 처음이었다. 아마도 그냥 정신없이 흔들었는지 모른다.
그 누나는 잘 있는지 그냥 궁금하네.
당시 방송통신고등학교에 학생들이 없다보니 2학년에서 3학년도
같은 학생들이 학년만 올라가지 않았을까 생각이 되기도 하는데
어느 날 하교길에 갑자기 팔짱을 끼는데 얼굴이 나도 모르게 빨개져서
참,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렇게 고등학교를 졸업을 했다.그리고 대학교에서 한 동안 나이트클럽에 빠졌던 기억이 난다.보통 당시 어느 도시에서나 있던 줄리아나, 한국관, 월드컵 등...그래, 그런 곳들이다.다로드 한 때는 참 춤 잘 췄다. 비록 족보는 없는 막춤이긴 했지만 말이다.그 춤으로 중국의 칭다오, 단동,광저우, 심천, 종산, 하이먼까지 두루 두루 놀아다녔다.
나이트클럽에서 부킹도 참 열심히 했고 돈 떼먹고 도망간 적도 있고 그 웨이터에게 사과를 한다. 이 자리에서나마 그냥 젊은 날의 객기, 혹은 추억, 뭐 그런 것들이다. 지금은 나이트클럽하면 우리 동네에는 한국관이 그나마 있더라만,이제는 나이가 나이니 만큼 잘 안 다닌다.ㅎㅎ 한 창때만 해도 자리에 앉지를 않았는데 말이다.단지 담배피기 위해서 앉을 뿐이었다.다, 기억이다.
참, 열심히 살았다.